하드웨어
-
음이온, 플라즈마, 오존, 고전압 발생기 차이하드웨어/음이온, 플라즈마, 오존, 고전압 발생기 2023. 10. 23. 18:00
음이온 플라즈마 오존 고전압 발생기 살균부품 : PTHAUS [PTHAUS] PTC/열전소자/펠티어/음이온/스위치/소켓 전문 기업 smartstore.naver.com 플라즈마 상태 음이온, 플라즈마, 오존, 고전압 발생기 차이 플라즈마 발생기 - 이온화, 코로나 방전, 오존 pthaus.tistory.com 플라즈마 상태 pthaus.tistory.com 음이온 발생기 - 기체의 이온화, 플라즈마, 코로나 방전 pth pthaus.tistory.com 플라즈마 발생기 - 이온화, 코로나 방전, 오존 pthaus.tistory.com 음이온 발생기 - 기체의 이온화, 플라즈마, 코로나 방전 pthaus.tistory.com 오존 발생기 - DBD (유전체 장벽 방전) 음이온, 플라즈마, 오존, 고전압 발..
-
스위치의 NO NC하드웨어 2023. 7. 3. 00:31
위 사진에서 버튼을 안 눌렀을 때(NC) 와 눌렀을 때(NO)의 통전 상태를 빨간색으로 나타낸 것 입니다. NC(Normal Close)는 버튼을 안 눌렀을 때 접점이 닿아 있다는 뜻입니다. NO(Normal Open)는 버튼을 안 눌렀을 때 접점이 떨어져 있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스위치는 버튼을 안 눌렀을 때 통전이 안 되다가, 버튼을 눌렀을 때 통전이 되는 NO 입니다. 위 사진은 NC선에 전구의 +선을 연결한 테스트입니다. 평소에 통전이 되어 전구가 켜져 있다가, 버튼을 누르면 접점이 떨어져 전구가 꺼집니다. 위 사진은 NO선에 전구의 +선을 연결한 테스트입니다. 평소에 통전이 안되어 전구가 꺼져 있다가, 버튼을 누르면 접점이 붙어 전구가 켜집니다. 메탈스위치.com 스위치.com 띵...
-
PTC 히터 소자하드웨어 2023. 6. 25. 15:13
목차 1.PTC 히터의 종류 2.PTC 히터의 발열 원리 3.PTC 히터 설계 시 주의 사항 1.PTC 히터의 종류 PTC를 히터로 사용하는 경우, 열을 내는 근원은 위 사진의 PTC 소자입니다.*PTC를 온도센서로 사용하기도 합니다.PTC 소자를 이용해서 제작하는 히터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소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은 동일합니다. 위 사진과 같이 PTC 소자의 ‘A’ , ‘B’면에 DC의 경우 각각 다른 극을, AC의 경우 한 쪽씩 연결해 줍니다. 위 사진의 'C'는 PTC 소자에 Polyimide 필름으로 감싼 형태입니다. Polyimide 필름은 260도의 고온을 견딜 수 있고, 절연성이 높습니다. 'D'는 'C'를 알루미늄 히트싱크겸 브라켓에 결합한 형태입니다. 필요한 곳에 부착하여 사용합니다...
-
쿨링팬의 풍량 풍압 정압 PQ커브하드웨어 2023. 6. 17. 17:38
쿨링팬의 사양서를 보면 풍량(AIR FLOW)과 정압(AIR PRESSURE)의 사양과 함께 PQ커브 그래프가 제공됩니다. 아래 사진의 PQ커브라면 쿨링팬의 사양서에 아래의 수치가 기재됩니다. 풍량 : 60.13CFM 풍압 : 8.53mmAq 위 표에서 보면, 풍량 : 60.13CFM 은 풍압이 0일 때의 수치이고, 풍압 : 8.53mmAq 는 풍량이 0일 때의 수치입니다. 각각 극단적인 수치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PQ테스트는 아래 사진의 풍동을 통해 테스트 합니다. 풍동은 1,000만원 이상의 고가 장비로 휴대용 간이 풍량계로는 절대값을 얻을 수 없고 상대 비교만 가능합니다. 아래 사진의 1번 위치에 팬을 위 사진과 같이 고정합니다. 팬이 돌면 2의 방향으로 바람이 불게 됩니다. 풍동에 1을 통해서..
-
볼 베어링 Ball Bearing (고온 쿨링팬 BLDC팬)하드웨어 2023. 4. 27. 18:15
볼 베어링의 사용 목적은, 축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마찰열을 분산시켜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 입니다. 위와 같이 내부 레이스와 외부 레이스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축이 돌면 내부 레이스(아래 사진의 1)은 같이 회전을 하고, 외부 레이스는 고정되어 있습니다.축과 내부 레이스가 같이 회전하지만, 축과 내부 레이스 간의 미세한 간격이 있어 약간의 RPM 차이를 두고 회전합니다. 따라서 아래 2 부분에서도 마찰이 발생 합니다. 아래는 베어링의 한 쪽 커버를 분해한 사진입니다. Ball 6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해 있습니다. 마찰을 줄이고 균일하게 분산하기 위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합니다. 내부 레이스가 돌면 Ball 은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합니다. 내부 레이스의 회전력이 Ball의 자전과 공전으로 분산되어, ..
-
TIP122 트렌지스터 - LED - 아두이노/ESP32하드웨어 2023. 1. 29. 17:02
#TIP122 - LED - 아두이노 #TIP122 - LED - ESP32 #관련글 #판매몰 #관련 부품 판매몰 #TIP122 - LED - 아두이노 #결선도 #코드 const int LED = 9; void setup() { } void loop() { analogWrite(LED, 10); delay(1000); analogWrite(LED, 255); delay(1000); analogWrite(LED, 0); delay(1000); } #영상 #TIP122 - LED - ESP32 #결선도 #코드 const int LED = 33; const int freq = 25000; const int Channel0 = 0; const int resolution = 8; void setup() { led..
-
TIP122 트렌지스터 - RGB LED - ARDUINO / ESP32하드웨어 2023. 1. 29. 16:57
#TIP122 - RGB LED - 아두이노 #TIP122 - RGB LED - ESP32 #관련글 #판매몰 #관련 부품 판매몰 #TIP122 - RGB LED - 아두이노 #결선도 #코드 const int G = 9; const int R = 10; const int B = 11; void setup(){ } void loop(){ analogWrite(R, 30); delay(1000); analogWrite(R, 255); delay(1000); analogWrite(R, 0); analogWrite(G, 30); delay(1000); analogWrite(G, 255); delay(1000); analogWrite(G, 0); analogWrite(B, 30); delay(1000); analo..